1. 먼저 세이브 파일 클라우드 서버 동기화를 중단


스팀 > 설정 > 클라우드 > Steam Cloud 활성화 > 비활성

위의 설정을 비활성하면 이제 본인 피시에 있는 세이브 파일과 클라우드 서버 동기화가 중단된다.

 

 

2.비활성한후 스팀앱 완전 종료

 

 

3. 삭제하고자 하는 게임의 번호 확인

게임 번호는 스팀 웹사이트에서 확인 할 수 있다.

게임 상세 페이지에 접속시 웹URL 주소 중간에 숫자가 있는데. 이게 게임 번호이다.

 

 

 

4.윈도우 탐색기로 아래 경로로 접속

C:\Program Files (x86)\Steam\userdata\{계정번호}\{게임번호}\

 

위의 경로중

{계정번호} 는 유저별로 고유 계정번호가 있다,

PC를 혼자 사용한다면 폴더가 하나뿐이니 그 폴더로 들어가면 되고,

만약 여러 사용자가 같이 사용한다면 폴더가 여러개 있을텐데 

아래 스팀 경로에  있는 자신의 코드를 보고 본인의 계정번호에 해당하는 폴더로 접속

 


(스팀 > 설정 > 계정 > 친구코드)




5. 해당 폴더에 있는 remotecache.vdf 파일을 삭제

***스팀앱이 실행되어 있다면 스팀앱을 완전 종료후 삭제***




6. 동기화 꺼진 상태에서 게임을 플레이하여 새로운 게임 데이터 만들기

 

간혹 파일 지우고 플레이하면 예전 파일 그대로 나오는 경우가 있다.

그럴경우를 대비해서 클라우드의 데이터와 다르게 새로운 게임 데이터를 만들자

(기존과 다르게 데이터에 저장될 만한 행동을 한,두개 하면된다.)




6. 클라우드 기능을 다시 활성화

스팀 > 설정 > 클라우드 > Steam Cloud 활성화 > 활성


 

7. 그러면  "cloud 동기화 충돌"  안내창이 나타난다.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된 세이브 파일과 로컬 세이브 파일이 다르므로 둘중 어느걸 사용하겠냐는 질문이다

여기서 '로컬 파일' 을 선택하면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된 세이브 파일을 삭제하게 되므로 

최종적으로 모든 세이브 파일이 삭제된다.

 

 

 

 

 

 

 

 

 

반응형

+ Recent posts